렌더링 최적화를 위해서 알아야할 개념!
💡 Critical Rendering Path ( = Pixel Pipeline )
Critical Rendering Path (= Pixel Pipeline, =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)은 크게 4가지 프로세스로 진행된다.
- DOM + CSSOM
- DOM : 요소들 간의 관계
- CSSOM : Style 요소들
- Render Tree
- DOM + CSSOM의 조합
- Layout
- 요소의 위치와 크기 정보를 가지고 레이아웃을 잡음
- Paint
- Layout에 색을 칠해 넣음
- Composite
- 각 Layer들을 합성하는 과정
🌱 Reflow
- Critical Rendering Path 과정이 다시 모두 재실행되는 것
🌱 Repaint
- color, background-color가 변경되었을 때, Critical Rendering Path 과정에서 Layout 을 생략하는 것
- Reflow 보다 빠름
🌱 GPU의 도움을 받아서 Reflow, Repaint 과정을 모두 피하기
- transform, opacity같은 GPU가 관여할 수 있는 속성이 변경되었을 때, Layout, Paint 과정을 생략
- Reflow, Repaint 보다 빠름
📌 GPU의 도움을 받아서 Reflow, Repaint 과정을 피해 최적화 시키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
https://yexjinitlog.tistory.com/147
[WPO] transform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최적화
지난 포스팅에서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에 대해 설명했었다. 마지막 내용에서 GPU의 도움을 받아서 Repaint, Reflow 를 생략할 수도 있다는 글을 적었는데, 자세히 이번 포스팅에 기록해보고자 한다!
yexjinitlog.tistory.com
...updating
Reference
Inflearn :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, 실전 웹 성능 최적화(feat. React)
'Web Performance Optimiz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PO] 컴포넌트 Preloading (0) | 2022.09.15 |
---|---|
[WPO] 이미지 Preloading (0) | 2022.09.14 |
[WPO] transform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최적화 (0) | 2022.09.13 |
[WPO] Code Splitting을 통한 최적화 (feat. cra-bundle-analyzer) (0) | 2022.09.12 |
[WPO] Lighthouse (0) | 2022.09.01 |